김선경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선경은 조선 시대의 인물로, 증조부의 몰락 이후 충청도 지역의 현감직을 거쳐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의 외척이 되었다. 1744년 향시에 합격하고 음서로 관직에 진출했으나, 한직을 전전하다가 손녀가 정순왕후로 간택된 후 선혜청 당상관, 호조 참의, 공조 참의를 역임했다. 사후에는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9년 출생 - 장 시메옹 샤르댕
장 시메옹 샤르댕은 18세기 프랑스의 화가로, 정물화와 풍속화를 주로 그렸으며, 소박한 일상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699년 출생 - 오스만 3세
오스만 3세는 에디르네에서 태어나 51년간 유폐 생활 후 1754년부터 1757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통치한 술탄으로, 잦은 관료 교체, 이스탄불 대화재, 성지 현상 유지 칙령, 튤립 시대 문화 억제 등의 사건이 있었다. - 1760년 사망 - 조지 2세
조지 2세는 하노버 왕조의 두 번째 국왕이자 하노버 선제후로서 대브리튼과 아일랜드를 통치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을 겪었고, 헨델을 후원했으며, 그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입헌 군주제의 유지를 특징짓지만 평가가 다양하다. - 1760년 사망 - 순혜황귀비
순혜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으며 순빈으로 시작해 황귀비로 승격되었고 사망 후 순혜황귀비 시호를 받았으나 평민 출신으로 추정된다. - 서산시 출신 - 성완종
성완종은 경남기업 회장과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 중 자살했고, 사망 후 공개된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서산시 출신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김선경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선경 |
한자 이름 | 金選慶 |
자 | 덕수(德修) |
국적 | 조선 |
성별 | 남성 |
출생일 | 1699년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홍주목 서산군 |
사망일 | 1760년 9월 19일 (향년 62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본관 | 경주(慶州) |
당파 | 무소속 |
관직 | |
직책 | 조선의 충청도 황간 현감 |
재임 기간 | 1748년~1751년 |
임금 | 영조 이금 |
대리청정 | 세자 이선(1749~1762) |
직책2 | 조선의 충청도 당진 현감 |
재임 기간2 | 1756년~1758년 |
임금2 | 영조 이금 |
대리청정2 | 세자 이선(1749~1762) |
직책3 | 조선의 호조 참의 |
재임 기간3 | 1759년 11월 8일~1760년 5월 |
임금3 | 영조 이금 |
대리청정3 | 세자 이선(1749~1762) |
직책4 | 조선의 공조 참의 |
재임 기간4 | 1760년 5월~1760년 7월 |
임금4 | 영조 이금 |
대리청정4 | 세자 이선(1749~1762)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김두광(金斗光) |
어머니 | 전주 이씨 부인(全州 李氏 夫人) |
서모 | 곡산 강씨 첩실(谷山 康氏 妾室) |
형제자매 | 2남 2녀 중 막내(이복 서형: 김운경) |
배우자 | 정실 남양 홍씨 첩실 순흥 안씨 |
자녀 | 김한구(적장자) 김한기(적차자) 김한로(서삼남) |
친척 관계 | |
친갓댁 친할아버지 | 김계진 |
외갓댁 외할아버지 | 이두소 |
빙부 | 홍주화 |
첩장인 | 안중형 |
친가친척 배다른 조카 | 김한록 |
친가친척 6촌 재종형 | 김흥경 |
친가친척 7촌 조카 | 김한신 |
친가친척 8촌 삼종제 | 김복경 |
친가 방척 9촌 조카 | 김한귀 |
친가 방척 9촌 조카2 | 김한룡 |
친가 방척 9촌 조카3 | 김한봉 |
경력 | |
경력 | 1744년 충청도 홍주목 서산군 향시 백일장(소과)에 합격하였으며, 1748년 음서(문음)로 천거됨. |
2. 생애
김선경은 1744년 충청도 홍주목 서산군 향시 백일장에 합격하였고, 1748년 음서로 천거되었으나 오랫동안 충청도 지역의 현감직을 전전하였다. 1748년부터 10년간 황간 현감(1748~1751), 비인 현감(1751~1754), 홍산 현감(1754~1756), 당진 현감(1756~1758) 등을 역임하며 호서 지역에서 목민관으로 활동했다.[1]
1759년 윤 6월, 김선경의 손녀딸이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로 간택되면서 그의 운명이 바뀌었다. 왕실의 외척이자 국구(國舅)의 아버지라 하여 특별히 선혜청 당상관으로 가자(加資)되었다.[1] 그해 11월 8일 호조 참의에 임명되었고,[1] 1760년 5월 공조 참의로 전임되었다. 1760년 9월 19일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증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2. 1. 가계 몰락과 지방관 생활
증조부 김홍욱이 민회빈 강씨의 복위를 주장하다가 사형당한 이후 그의 가계는 몰락하였다. 김선경은 1744년 충청도 홍주목 서산군 향시 백일장에 합격하였고, 1748년 음서로 천거되었으나, 오랫동안 충청도 지역의 현감직을 전전하였다. 그는 1748년부터 10년간 황간 현감(1748~1751), 비인 현감(1751~1754), 홍산 현감(1754~1756), 당진 현감(1756~1758) 등을 역임하며 호서 지역에서 목민관으로 활동했다.[1]2. 2. 왕실과의 인연 및 관직 상승
1759년 윤 6월, 김선경의 손녀딸이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로 간택되면서 그의 운명이 바뀌었다. 왕실의 외척이자 국구(國舅)의 아버지라 하여 특별히 선혜청 당상관으로 가자(加資)되었다.[1] 그해 11월 8일 호조 참의에 임명되었고,[1] 1760년 5월 공조 참의로 전임되었다. 1760년 9월 19일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증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3. 가족 관계
3. 1. 직계
직계 관계 | 인물 정보 |
---|---|
증조부 | 김홍욱 (당진현감, 홍주목사, 충청도 관찰사 역임) |
친조부 | 김계진 (예원사평, 동궁익위사 세마, 지례현감, 황간현감 역임) |
친조모 | 거창 신씨 (신현, 첨지중추부사 역임)의 딸 |
아버지 | 김두광(金斗光) |
어머니 | 전주 이씨 (이두소, 통덕랑 역임)의 딸 |
본인 | 김선경(金選慶, 1699년 ~ 1756년) - 배다른 2남 2녀(4남매) 가운데 막내(적출 차남) |
부인 | 남양 홍씨 (홍주화의 딸) |
장남(첫째 아들) | 김한구(金漢耉, 1723년 ~ 1769년) |
손자 | 김귀주(金龜柱, 1740년 ~ 1786년) |
손녀 | 정순왕후 김씨(1745년 ~ 1805년 1월 12일) (영조의 계비) |
차남(둘째 아들) | 김한기(金漢耆, 1728년 ~ 1792년) |
측실 | 순흥 안씨 (안중형, 1695년 ~ ?)의 딸 |
서자(막내 아들) | 김한로(金漢老, 1746년 ~ ?) |
서모 | 곡산 강씨 (강정엽의 딸) |
서형 | 김운경(金運慶, 1698년 ~ 1756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